https://blog.kakaocdn.net/dn/cETbQO/btsAa8V7iYU/7ndpqZ2bSfedI3uATL0KHK/img.png

WebRTC를 사용하게 된 이유

화상 공유, 음성 공유가 필요했기때문이다.

WebRTC를 사용하면 웹어플리케이션 및 사이트가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음성, 영상, 미디어 , 텍스트, 파일까지 주고받을수 있다.

WebRTC란

WebRTC는 Web Real-Time Communications의 약자로 웹상에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WebRTC는 P2P통신에 최적화 되어있다.

1:1 통신상황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런 상태인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0dsEd/btsz9Ay5x0N/ANlQk0gC9sKkIzIR2pYAZK/img.png

그런데 이렇게 연결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기본 동작

P2P연결은 초대장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서로가 서로에게 초대장을 보내고, 연결을 수락하면 P2P연결을 시작한다.

그런데 어떻게 서로에게 초대장을 보낼 수 있을까?

Client A와 Client B는 정말 쌩판 남이다.

초대장을 중계해줄 서버가 필요하다.

보통은 이를 소켓서버로 구현한다.

SDP(초대장)

SDP는 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의 약자로, P2P연결을 시도하는 피어간의 미디어와 네트워크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열이다.